Dept. of Hispanic
Language & Literature
- 홈
- 학과소개
- 교수진
사람들

김창민Kim, Chang-Min
- 직급
- 교수
- 전공
- 중남미문학(현대소설)
- 연락처
- 인문대학 3동 426호 / Tel. 02-880-8109
- chang107@snu.ac.kr
학력
- 1978.03. ~ 1984.02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문학사
- 1984.03. ~ 1987.08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문학사
- 1987.09. ~ 1989.08
- 멕시코 과달라하라 대학교 문학석사 (중남미문학)
- 1989.09. ~ 1993.05
-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교 문학박사 (중남미문학)
경력
- 1995.01. ~ 1996.12.
- 한국서어서문학회 총무이사
- 1995.03. ~ 1999.09.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조교수
- 1997.03. ~ 1999.02.
-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중남미실장
- 1997.03. ~ 1999.02.
-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부장
- 1997.11. ~ 2001.02.
-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이사
- 1999.01. ~ 2000.12.
-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소장
- 1999.09. ~ 2003.04.
- 서울대학교 관악사관리위원회 위원
- 1999.10. ~ 2005.10.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부교수
- 2000.12. ~ 2002.12.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학과장
- 2002.05. ~ 2006.05.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대학원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겸임교수
- 2003.03. ~ 2004.02.
-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오스틴) 파견근무
- 2005.08. ~ 2006.08.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학과장
- 2006.04. ~ 2009.02.
-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스페인어권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사업” BK21사업팀 팀장
- 2006.08. ~ 2008.08.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교무부학장
- 2008.06. ~ 2010.06.
-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SNUILAS) 소장
연구업적
학위논문- 1994,
- Los conflictos culturales en la ultima novelistica puertorriquena(1970-89), 박사학위논문, 마드리드 꼼쁠루뗀세 대학교
- 1996,
- 『Coreano I, II, III』,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편, 범신사 (문화체육부지원)
- 2001,
- 『라틴아메리카의 문학과 사회』(2인 편저), 까치
- 2004,
- 환멸의 세계와 매혹의 언어-‘붐’ 이후의 라틴아메리카 현대소설(손관수 외 19인 공저), 한국문화사
- 2007,
- 『차이를 넘어 공존으로: 스페인어권 세계의 문화 읽기』, 서울,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 2007,
- Visiones paralelas de dos mundos distantes: La narrativabreve de Mexico y Corea en el siglo XX, 멕시코, Universidad de Guadalajara(김현창외 4인 공저)
- 2007,
- 문학 번역의 이해, 서울, 북스토리 (김창민외 6인 공저)
- 2010,
- 『브라질: 역사, 정치, 문화』, 까치(공저)
- 2013,
- 『스페인 문화 순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공저)
- 2018,
- 『스페인어권 명작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 1994,
- 『저주받은 사랑』, 열음사
- 1996,
- 『미국은 섹스를 한다』, 자작나무
- 1997,
- 『선과 악을 다루는 35가지 방법 I, II』, 자작나무
- 1997,
- 『여우가 늑대를 만났을 때 I, II』, 자작나무
- 1999,
- Poemas de Chunsu Kim (『김춘수 시선』), Madrid: Verbum
- 2000,
- Retorno al cielo (천상병의『귀천』), Madrid: Verbum
- 2002,
- Mitos coreanos (황패강의『한국의 신화』), Madrid: Verbum
- 2003,
- 『내 마음의 명작 동화 I, II』(돈 후안 마누엘), 간디서원
- 2003,
- Sueños del barranco (오세영의『벼랑의 꿈』), Madrid: Verbum
- 2005,
- 『세계화 시대의 문화 논리』(편역), 한울아카데미
- 2008,
- 『검은양과 또 다른 우화들』, 서울, 지만지
- 2008,
- 『라틴아메리카 국민국가 기획과 19세기 사상』,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대학사
- 2010,
- 『살라미나의 병사들』, 열린책들
- 2011,
- 『멕시코의 역사』, 그린비
- 2011,
- Mandala( 『만다라』), Buenos Aires, Bajo la luna
- 2015,
- 『새장에 갇힌 멜랑콜리』, 그린비
- 2016,
- 『미래의 나라, 브라질』, 후마니타스
- 1993,
- 「수필에 나타난 에르네스또 사바또의 문학관」, 이베로아메리카연구, 4,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 1994,
- 「푸에르토리코 문학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저주받은 사랑』을 중심으로」, 외국문학, 38
- 1994,
- Sátiro o el poder de las palabras: novela creacionista, 서어서문연구, 6, 한국서어서문학회
- 1995,
- 「『마초까마초의 구아라차』: 카니발적 소설언어의 비판기능」, 서어서문연구, 7, 한국서어서문학회
- 1996,
- Feminismo en Cuentos de Eva Luna de Isabel Allende: un estudio intertextual, Actas del cuarto congreso de Hispanistas de Asia, 4, 아시아서어서문학회
- 1996,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의 문학세계 : 현실고발과 형이상학적 고뇌」, 펜과 문학, 39(여름)
- 1997,
- 「페루 인디오소설의 정체성 탐구과정 연구」, 이베로아메리카연구, 8,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 1999,
- 「이사벨 아옌데의 문학세계 연구」, 서어서문연구, 14, 한국서어서문학회
- 1999,
- 「중남미 문학 속의 미국」,『내일을 여는 작가』, 17, 한울
- 2000,
- 「라틴아메리카의 문학 : 현대소설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중심으로」, 문학과 교육, 11, 문학과 교육 연구회
- 2000,
- 「20세기 푸에르토리코 소설의 정체성 탐구과정 연구」, 라틴아메리카연구, 13-2,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 2000,
- 「20세기 아르헨티나 소설에 나타난 정체성 탐구」, 이베로아메리카연구, 11,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 2003,
- 「미국내 멕시코계 문학과 문화적 정체성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33, 성곡학술문화재단
- 2003,
- 「이사벨 아옌데의 소설과 과거 청산」,『서어서문 연구』 제 29호, 한국서어서문학회
- 2005,
- 「로사리오 페레의 ≪호숫가의 집≫」,『스페인어문학』제 34호, 한국서어서문학회
- 2005,
- 「라틴아메리카와 미국: 역사적 관계와 문학적 이미지」, 『라틴아메리카연구』, 제 18권 4집,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 2008,
- 「로아 바스또스의 ≪사람의 아들Hijo de hombre≫과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 비교 연구- 구원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베로아메리카연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 2008,
- 「세계화 시대 문화적 혼존성의 가능성」,『이베로아메리카연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