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xcursión(Daebu-do, Corea)
-
El bar(Mallorca, España)
-
El tango(Montevideo, Uruguay)
-
SNU in Madrid(Museo de Reina Sofía, Madrid)
-
Campamento de español
-
El campus(Seúl, Corea)
-
Calle colonial(Trinidad, Cuba)
-
Catedral de Santiago de Compostela(Galicia, España)
-
El Malecón(La Habana, Cuba)
-
Festival de teatro
학내공지
2019.02.07 | |
2019.02.07 | |
2019.01.28 | |
2019.01.17 | |
2019.01.14 | |
2018.10.01 |
학과소식
![]() |
2018-12-27 |
![]() |
2018-12-20 |
![]() |
2018-10-28 |
![]() |
2018-10-23 |
![]() |
2018-10-22 |
선배들과의 대화
-
노성민
- 학번:99학번
- 직장:구글코리아, (전)삼성전자 무선사업부
- 전문분야 / 연구분야:중남미 지역 시장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곽재성
- 학번:84학번
- 직장:경희대학교 교수
- 전문분야 / 연구분야:중남미지역연구 / 국제개발협력 / 국제정치경제
-
백수진
- 학번:04학번
- 직장:SBS 예능본부 제작PD
- 전문분야 / 연구분야:예능프로그램 연출
-
안성희
- 학번:01학번
- 직장: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남미 미주개발은행(IDB) Partnerships Officer 파견
- 전문분야 / 연구분야:중남미 무역투자
-
최형원
- 학번:95학번
- 직장:싱가폴 국립대학 교수/ 싱가폴국립연구소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선임연구
- 전문분야 / 연구분야:생물정보학
출판물
-
- <스페인어권의 세계>
-
- 저자:
- 이만기
- 책소개:
- 스페인어권 세계의 언어상황과 언어정책을 역사적 맥락에서 다룬 저서. 언어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을 통해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스페인어의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
- <즐거운 식인>
-
- 저자:
- 임호준
- 책소개:
- 20세기 후반 이래, 식인주의를 비롯한 라틴아메리카 특유의 카니발적 예술이 세계 문학과 예술의 전위에 섰다. 지구 위의 다성적이고 다자극적인 새롭고 상이한 과육을 먹어야 한다는 식인주의는 브라질 문화뿐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전체의 정체성 담론과 문화적 논의에도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 또한 식인주의가 지지하는 다중의 정체성 또는 정체성의 카니발화는 세계화 시대의 문화 정체성 논의에 이상적인 모델을 제공한다. 이 책은 이러한 라틴아메리카의 식인주의와 카니발리즘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한 지역의 예술 사조 연구를 넘어 다성적인 현대 예술의 특징을 검토한다.
-
- <낭만적인 개들>
-
- 역자:
- 김현균
- 책소개:
- 시인으로서의 볼라뇨의 존재를 알리게 된 그의 대표 시집으로 혁명의 좌절, 라틴 아메리카의 현실, 방황하는 멕시코의 젊은 시인들에 대한 연민, 연인과 동료들에 대한 사랑 등을 노래하고 있다. 고단하고 혼란한 현실 속에서도 시에 열광적으로 사로잡혀 있던 젊은 시절 볼라뇨의 순수한 초상과 문학을 향한 분투의 기록을 느낄 수 있다.
-
- ‹미래의 나라, 브라질›
-
- 역자:
- 김창민
- 책소개:
- 20세기 전반 중요한 지성인 중 하나인 슈테판 츠바이크가 브라질의 정복 시대에서부터 1941년까지의 역사, 경제, 문화, 도시, 지역 등을 소개하는, 브라질에 대한 종합 개설서이다.
-
- ‹Políticas lingüísticas y actualización del habla en naciones plurilingües: aimara, catalán, guaraní, nahuatl, nheengatu, quechua›
-
- 역자:
- 이만기, Claudia Macías
- 책소개:
- 스페인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에서 공존하고 있는 여섯 가지 언어들을 언어학적, 사회문화적으로 분석하고 이중언어 상황을 다룬다.
Contact us
- 주소 (우)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3동 429호 서어서문학과
- 이메일 spanspan@snu.ac.kr
- 전화 02-880-6156
- 팩스 02-882-6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