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라틴아메리카는 더 이상 낯선 미지의 땅이 아닙니다. 경제, 외교, 문화적 중요성이 크게 증대하며 이 지역에 대한 체계적 이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라틴아메리카학 연계전공’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마련된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라틴아메리카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활로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브라질은 BRICS의 핵심 멤버로서 한국 주요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전략적 거점입니다. 또한 칠레, 페루, 콜롬비아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안데스 지역은 사실상 한국의 지경학적 공간(geo-economic space)으로 편입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최대 라틴아메리카 교역국인 멕시코와는 2022년 FTA 협상이 재개되며 라틴아메리카 시장 확대를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한국은 외교 관계가 없던 쿠바와 대사급 국교를 수립함으로써 라틴아메리카 전역으로 외교 지평을 확장하는 역사적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이 사건은 라틴아메리카가 한국 외교에서 차지하는 전략적 가치가 한층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입니다.

라틴 드라마(텔레노벨라), 라틴팝, 살사 댄스 등은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문화 코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동시에 라틴아메리카 현지에서는 K-pop을 중심으로 한 한류 열풍이 뜨겁게 확산되며, 양방향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스페인어권 라틴아메리카의 인구는 약 4억 5천만 명에 달하며, 미국 내 스페인어 상용 인구 또한 5천만 명을 넘어섭니다. 브라질의 2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포르투갈어 역시 세계적으로 중요한 언어입니다.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구사 능력은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핵심 자산이 될 것입니다.

연계전공의 목표는 뚜렷합니다. 첫째, 학제적 접근을 통해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둘째, 자신의 전공 분야를 지역적 관점과 접목시키는 융합형 전문가로 훈련될 기회를 제공합니다. 셋째, 공간 중심적 사고를 배양하여 글로컬리제이션에 대한 감수성을 높입니다.

새로운 세계로 향하는 문, 라틴아메리카학 연계전공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라틴아메리카학 연계전공 주임교수

 

라틴아메리카학개설과목
 학과(부)교과목 번호동일대체 교과목명교과 구분학점개설학기
라틴아메리카학M1245.000100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없음전선3

1

2025학년도 1학기 미개설

M1245.000500라틴아메리카와 세계라틴아메리카 심화 연구전선32
M1244.000500라틴아메리카연구 입문라틴아메리카 지성사전선31
M1245.000400현대라틴아메리카 1라틴아메리카학개론전선31
M1244.000600현대라틴아메리카 2현대 라틴아메리카전선32
1071.203라티노 사회와 문화없음전선31
1071.205브라질 사회와 문화없음전선32

**** 기존에 <라틴아메리카 지성사>, <라틴아메리카학 개론>. <현대 라틴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 심화연구>를 수강한 학생이 교과목 명칭이 변경된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현대 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 2>, <라틴아메리카와 세계>를 수강할 경우, “재수강”으로 간주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학과(부)교과목 번호교과목 명학점개설학기
사회과학대학 개설과목
사회학과205.238A사회발전론3각학과사정에따라 변동
정치외교학부216A.202비교정치론3
정치외교학부216B.347금융과 발전의 국제정치경제3
지리학과208.205경제지리학3
인류학과206.43라틴아메리카의 민족과 문화3

※ 사회과학대학 개설 교과목의 경우, 개설학과의 내부사정에 따라 주기적인 개설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기 교과목 필수 수강대상자거나, 수강계획이 있는 학생의 경우, 사전에 미리 해당 학과 사무실에 연락하여, 개설 혹은 편성 상황에 대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사회대 개설 교과목은 2021년 2학기부터 적용되며, 그 이전에 진입한 학생이 <아메리카 지리(208.318A)>,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와 외교(216A.327A)>를 기수강한 경우, 이수 학점에 포함한다.

 

학과(부)교과목 번호교과목 명학점개설학기
인문대학 개설과목
서어서문107.247중남미문화비평32
100.125현대라틴아메리카의 대중문화31
107.335중남미시연습32
107.437A라틴아메리카 영화와 현대사회32
100.127스페인어의 세계32

운영위원회

운영위원장: 김현균(서어서문학과)
운영위원: 김용균(정치외교학부), 박정호(고고미술사학과), 손지은(서어서문학과), 안지현(영어영문학과), 임태균(라틴아메리카연구소)

교과과정 표준 이수 형태연계전공 라틴아메리카학 (Latin American Studies)

· 참여학과: 서어서문학과, 정치외교학부, 인류학과, 지리학과, 사회학과

학사과정 전공과목 이수표준형태(Recommended Tracks for Undergraduate Majors)

학년 yr.\학기 sem.비고
remarks
2
  • 107.125현대 라틴아메리카의 대중문화
  • 100.127스페인어의 세계
 
3
  • M1245.000400현대 라틴아메리카 1
  • M1244.000500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 208.205경제지리학
  • 216A.202비교정치론
  • 1071.203라티노 사회와 문화
  • 107.247중남미문화비평
  • 107.335중남미시연습
  • M1245.000500라틴아메리카와 세계
  • 1071.205브라질 사회와 문화
  • 205.238A사회발전론
  • 216B.347금융과 발전의 국제정치경제
 
4
  • M1245.000100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 107.437A라틴아메리카 영화와 현대사회
  • 206.430라틴아메리카의 민족과 문화
  • M1244.000600현대 라틴아메리카 2
 

과목 이수규정(Course Requirements)


총 21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라틴아메리카학 영역에 해당되는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라틴아메리카와 세계”, “현대 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 2”, “라티노 사회와 문화”, “브라질 사회와 문화” 등 7개 교과목 중 반드시 3개(9학점) 이상을 수강하여야 함.

③-1 (2016 학년도 진입생 이전) 학생의 원 소속 대학 이외의 대학에서 개설하고 라틴아메리카학 전공으로 지정한 교과목 중 반드시 1개 (3학점) 이상을 수강하여야 함.
단, 라틴아메리카학 영역에 해당되는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라틴아메리카지성사)”, “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라틴아메리카와 세계”, “현대 라틴아메리카 1(라틴아메리카학 개론)”, “현대 라틴아메리카 2 (현대라틴아메리카)”, “라티노 사회와 문화”, “브라질 사회와 문화” 등 7개의 교과목은 어떠한 경우에도 타 대학 개설 교과목에 포함되지 않음.

③-2 (2016학년도 진입생부터) ③-1 규정 폐지

신청기간

부전공 및 연계전공 신청기간

연계전공

**(중요) 2022학년도 1학기를 기점으로 표준 이수 형태가 변경됨에 따라 기존에 연계전공학점으로 인정되던 스페인어문법1과 중급스페인어회화가 연계전공학점으로 인정되지 않는 대신 중남미시연습이 연계전공학점으로 인정된다. 이에 따라 2022학년도 이후에 수강한 “스페인어 문법 1”과 “중급스페인어회화”는 전공학점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2021학년 2학기까지 기수강한 “스페인어 문법 1”, “중급스페인어회화”는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중남미시연습”은 수강 시기와 상관 없이 전공학점으로 인정한다.”

2012 ~ 2015학년도 진입생
신청자격참여학부(과) 소속 학생
이수규정
  • 총 21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 학생의 원 소속 대학 이외의 대학에서 개설하고 라틴아메리카학 전공으로 지정한 교과목 중 반드시 1개(3학점) 이상을 수강하여야 함.  단, 라틴아메리카학 영역에 해당되는 “라틴아메리카학 개론(현대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현대라틴아메리카 2)”,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라티노 사회와 문화”, “브라질 사회와 문화”, “ 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라틴아메리카 심화 연구”, 등 7개 교과목은 어떠한 경우에도 타 대학 개설 교과목에 포함되지 않음.
  • 라틴아메리카학 영역에 해당되는 “라틴아메리카학 개론(현대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현대라틴아메리카 2)”,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라티노 사회와 문화”, , “브라질 사회와 문화”, “ 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라틴아메리카 심화 연구” 등 7개 교과목 중 반드시 3개(9학점) 이상을 수강하여야 함.
  • 2020학년도 1학기 이전 “라틴아메리카지성사”, “라틴아메리카학 개론”, “현대 라틴아메리카”를 기 이수한 학생의 경우, 해당 교과목 명칭이 각각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현대 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 2”로 변경되었으므로, 중복수강하지 않도록 유의.
2016~2021학번 진입생
신청자격학과 제한 없음
개정 이수규정
  • 총 21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 라틴아메리카학 영역에 해당되는 “라틴아메리카학 개론(현대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현대라틴아메리카 2)”,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라티노 사회와 문화”, , “브라질 사회와 문화”, “ 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라틴아메리카 심화 연구” 등 7개 교과목 중 반드시 3개(9학점) 이상을 수강하여야 함.
  • 2020학년도 1학기 이전 “라틴아메리카지성사”, “라틴아메리카학 개론”, “현대 라틴아메리카”를 기 이수한 학생의 경우, 해당 교과목 명칭이 각각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현대 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 2”로 변경되었으므로, 중복수강하지 않도록 유의.
 
2022학년도 이후 진입생
신청자격학과 제한 없음
개정 이수규정
  • 총 21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 라틴아메리카학 영역에 해당되는 “라틴아메리카학 개론(현대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현대라틴아메리카 2)”,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라티노 사회와 문화”, , “브라질 사회와 문화”, “ 라틴아메리카와 기술 문명”, “라틴아메리카와 세계” 등 7개 교과목 중 반드시 3개(9학점) 이상을 수강하여야 함.
  • 2021학년도 1학기 이전 “라틴아메리카지성사”, “라틴아메리카학 개론”, “현대 라틴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 심화연구”를 기 이수한 학생의 경우, 해당 교과목 명칭이 각각 “라틴아메리카 연구 입문”, “현대 라틴아메리카 1”, “현대 라틴아메리카 2”, “라틴아메리카와 세계”로 변경되었으므로, 중복수강하지 않도록 유의.

신청서류접수

서어서문학과 과사무실(3동 429호)

문의

전화: (02) 880-6156 이메일: spanspan@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