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1999, La novela corta anterior a 1613: el surgimiento de un nuevo género,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단행본 (저서)
2019, 사랑, 중세에서 종교개혁기까지, 산처럼(공저)
2018, 창의 혁명, 코리아닷컴 (공저)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광문각 (공저)
2017, 코리아 아젠다
2017, 나녹 (공저)
2016, 감정의 문화사-현대적 감정의 기원에 대한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공저)
2015, 중세의 죽음, 산처럼 (공저)
2004, 강- 문학적 형상과 기억들, 소화출판사 (공저)
2002, 프랑스와 유럽,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1992, 낙엽비(Las lluvias amarillas de Julio Llamazares), 전원출판사
연구논문 (Papers & Conferences)
2019, "알폰소 10세와 라몬 율(Ramon Llull): 중세 스페인 기사도(騎士道)의 사회적 의미",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12, 39-64.
2015, 문학과 시장 Ⅲ: 아마디스 데 가울라의 서사구조- 영웅담의 수직적 상승구조와 수평적 대립구조, pp. 123-151, 스페인어문학 76
2014, 문학과 시장 Ⅱ: 아마디스 데 가울라와 베스트셀러의 조건, pp. 121-148, 스페인어문학 73
2012, 문학과 시장 I: 아마디스 데 가울라와 문학 시장, 스페인어문학 63, pp. 233-257,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1, Influencia de la novella italiana en la novela corta española del Siglo de oro, 스페인어문학, 한국서어서문학회
2009, La Celestina에 나타난 사랑과 허위의식, 서어서문연구, 52,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4, 피셔킹과 돈키호테: 환상의 전이와 변용, 스페인어문학, 31,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3, 노벨라(Novela, Novella)의 의미변천과 단편소설 장르의 형성, 중세르네상스영문학, 11, 한국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3, 돈키호테의 죽음: 각성 혹은 새로운 영웅의 탄생, 서어서문연구, 26, 한국서어서문학회
2002, 문학의 한 목적으로서 쾌락을 추구하기 위한 변론 -스페인 중세 택스트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46,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1, 깔데론의 ‘가짜 점성술사’와 바로크의 혼란스런 질서, 이베로아메리카연구, 19, 한국 서어서문학회
2000, 구스만 데 알파라체. 이중적 독서와 삶에 대한 비극적 감정, 이베로아메리카연구, 11,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스페인중남미연구소
2000, 후안 데 세구라의 Proceso de cartas de amores : 센티멘탈 소설의 마지막 작품, 서어서문연구,17, 한국 서어서문학회
1999, Novela del Curioso Impertinente: 속임수의 향연, 이베로아메리카연구, 10,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 연구소
1997, 스페인 황금세기의 문학검열, 이베로아메리카연구, 8,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스페인중남미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