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진

조민현 교수

Cho, Min-Hyun

전공스페인문학
주소인문대학 3동 423호
연락처02-880-6043
이메일minhyunc@snu.ac.kr

학력

2001 스페인 마드리드대학교 박사 졸업
1992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1990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어서문학과 학사 졸업

경력

2023.01. – 2024.12. 한국스페인어문학회 윤리강령위원장
2022.05. – 2023.07. 대구 DELE 센터장
2021.08. – 2023.02. 대구가톨릭대 외국어자율전공학부장
2021.07. – 현재. 세계문학비교학회 부회장
2010.03. – 2025.08. 대구가톨릭대학교 스페인어중남미학과 교수
2007.09. – 2010.02.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연구업적

단행본(저서)
2019 『스페인 아방가르드와 바로크적 전통』,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스페인어권 명작의 이해』(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환멸의 세계와 문학적 유토피아 : 『돈키호테』를 읽다』(공저), 도서출판 월인
2016 『(누구나 쉽게 배우는) 스페인어』(공저),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8 『작품으로 읽는 스페인 문학사』(공저),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스페인 현대 소설론: 리얼리즘에서 생성의 미학으로』, 도서출판 월인

단행본(역서)
2013 스테판 에셀, 『포기하지 마라』, 문학세계사
2008 라몬 고메스 데 라 세르나, 『그레게리아』, 지만지
2008 구스타보 A. 베케르, 『서정시집・전설』,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미겔 데 우나무노, 『안개』, 민음사

주요 연구논문(Publications)
2025 「아소린의 『의지』에 나타난 쇼펜하우어 사상의 문학적 형상화」, 『비교문화연구』, pp. 237-262.
2024 「<오토마타>에 나타난 기계의 자의식과 포스트휴먼의 도래」, 『인문과학연구』, pp. 99-122.
2023 「피카레스크적 전망에서 본 <기생충>: 『사기꾼 El Buscón』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pp. 373-396.
2023 「벨라스케스의 회화와 문학의 상관성: 바로크 미학의 표출 양상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pp. 61-83.
2022 「우나무노의 문학에서 불멸과 개인 동일성의 문제」, 『스페인어문학』, pp. 141-159.
2021 “La infancia como alegoría de la ontología literaria en Historias de la Artámila”, 『스페인어문학』, pp. 227-246.
2020 「『침묵의 시간』에 나타난 서사적 장치로서의 질병」,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pp. 87-106.
2020 「피카레스크 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장치로서 음식과 그로테스크한 변형 -『라사리요 데 토르메스 Lazarillo de Tormes』와 『사기꾼 El Buscón』을 중심으로-」, 『스페인어문학』, pp. 173-194.
2019 「위기 시대의 역사 인식 - 우나무노의 내부 역사와 박은식의 국혼론적 역사 비교연구 -」, 『세계문학비교연구』, pp. 247-264.
2019 「『경이로운 도시』에 나타난 바르셀로나의 공간적 의미: 역사적 공간에서 문학적 공간으로」,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pp. 1-20.
2018 「카탈루냐 독립 움직임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 『민족연구』, pp. 4-17.
2017 「큐비즘과 문학적 글쓰기」, 『스페인어문학』, pp. 131-149.
2016 「형식적 개혁의 관점에서 본 『파스쿠알 두아르테 가족』」, 『스페인어문학』, pp. 67-85.
2015 「부뉴엘의 영화 속에 나타난 에스페르펜토 미학」, 『스페인어문학』, pp. 337-361.
2014 「오르테가 이 가세트와 바로하 사이의 소설에 대한 논쟁과 그 문학적 의의」, 『스페인어문학』, pp. 239-260.
2014 「바예 잉클란의 『보헤미아의 빛』에 나타난 에스페르펜토 미학과 고야의 회화 전통」,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pp. 151-174.
2013 「르네 지라르의 이론으로 본 <욕망의 모호한 대상>에서 욕망의 모습과 내러티브 구조와의 상관성」, 『스페인어문학』, pp. 397-416.
2012 「베케르의 『전설』에 보이는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의 혼합과 그 의미」, 『스페인어문학』, pp. 109-132.
2011 「그레게리아와 바로크적 전통」, 『외국문학연구』, pp. 211-235.
2010 「에라스무스의 광기와 스페인 인문주의」, 『세계문학비교연구』, pp. 279-302.
2009 「스페인의 문화정체성과 액자문학」, 『스페인어문학』, pp. 197-213.
2009 “Una visión orteguiana de Madrid en Tiempo de silencio”, Actas del XLIII Congreso Internacional de la Asociación Europea de Profesores de Español, pp. 3-8.
2008 「그레게리아에 나타난 관점의 이동과 미적 현대성」, 『스페인어문학』, pp. 131-146.
2008 「위기의 시대에 나타난 스페인에 대한 두 시각 ― 우나무노와 오르테가의 관점 비교 ―」, 『이베로아메리카연구』, pp. 147-166.
2007 「오르테가의 은유와 그 미학적 의미」, 『세계문학비교연구』, pp. 157-174.
2007 “La fantasía de los niños en el imaginario de Ana María Matute: En torno a “Don Payasito”“, Actas del sexto congreso de hispanistas de Asia, pp. 509-515.
2006 「반문화의 문화: 스페인의 문화정체성 고찰」, 『스페인어문학』, pp. 183-300.
2005 「고야의 그림을 통해 본 『침묵의 시간 Tiempo de silencio』 - 내부로부터의 현대성 논의를 위한 상호텍스트적 비교 -」, 『스페인어문학』, pp. 249-266.
2004 「시대의 위기와 예술적 상상력 - 세르반테스와 벨라스케스의 인식론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 『스페인어문학』, pp. 335-352.
2004 「오르테가 이 가세트의 소설이론: 내러티브의 위기와 소설의 새로운 개념」, 『스페인어문학』, pp. 251-271.
2003 「탈신화 시대의 소설: 스페인 실험 소설에 대한 성격 연구」, 『스페인어문학』, pp. 403-421.